버스닷

DRT (수요 응답형 교통지원 플랫폼)

DRT는 Demand-Responsive Transport로,
탑승자에 위치에 따라 운행중인 차량의 위치와 경로를
최적화하여 탄력적인 교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중교통 취약지역의 시민들은
한정된 차편을 놓친다면
병원도 장을 보러갈 수도 없습니다.
교통 소외지역에도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수단이 절실합니다.

수요 기반으로 승객의 위치와 탑승 시간에 맞추어
자율노선을 생성하고 운영하는
탄력적인 교통체계입니다.
DRT 솔루션은 편리하고 효율적인
교통서비스를 실현합니다.

DRT가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승객이 있는 곳이
바로 정류장입니다.

버스닷, 왜 필요할까요?

01 대중교통 취약지역의 불편 호소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은 교통 수요가 낮기 때문에
노선 유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대중교통의 보급률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대중교통 취약 지역의 낮은
교통 수요로 인한 긴 배차간격과 많은 경유지로 인한
불편이 초래되고 있습니다.

02 맞춤형 이동수단의 필요성

모바일 택시 앱 같은 교통 분야의 Online to
Offline(O2O) 서비스 확산에 따라 이용자 니즈가
증가했습니다. 사용자가 요구하면 서비스가 제공되는
On-Demand 형태로 전환되는 개인 맞춤형
교통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했습니다.

03 2050 탄소중립 달성

한국은 탄소배출 주요 국가로 선정되어
2050년 탄소중립(Net-Zero)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도심 내 교통량 감소는 중요한 탄소 저감조치 방안 중
하나입니다.

버스닷 for Everyone

내 위치와 가장 가까운
정류장으로
차량을 호출하는

이용자가 입력한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이동경로를 제안합니다.

QR탑승권으로
승차처리도 간편하게

예약이 완료되면 QR탑승권이 발급됩니다.
QR탑승권을 스캔하면 탑승정보가 기사님에게
전달됩니다.